티스토리 뷰
목차
상담의 의미
삶의 문제로 도움을 청하거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을 내담자라고 정의하고 다음 두 가지 질문에 대해 생각해보자.
첫째, 사람들은 왜 도움을 청하는가? 그리고 도움의 주요 목적은 무엇인가?
상담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 두 가지를 고려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1.왜 사람들은 스스로 상담을 원하거나 아니면 상담을 받도록 의뢰되어 오는가? 2.상담과정의 주요목적은 무엇인가?
문제 상황에 처해 있고 기회를 활용하지 못한 내담자
많은 내담자는 자기 눈으로 보거나 남의 눈으로 보더라도 문제 상황에 처해 있지만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담을 받으러 온다. 또 어떤 사람들은 자신의 기대만큼 제대로 살고 있지 못하다고 느껴서 찾아오기도 한다. 한편으로는 이 두가지 문제를 모두 안고 있는 사람도 많다. 따라서 내담자가 처한 문제 상황과 적절히 활용하지 못한 기회가 바로 상담과정의 출발점이 된다.
문제 상황
내담자는 위기,고통,의혹,난관,좌절,근심걱정 등의 여러가지 이유로 도움을 청한다. 우리는 흔히 이런 것들을 통틀어서 문제라고 부르지만, 이는 정서적 혼란이 야기되고 명확한 해결책도 없기 때문에 수학적 의미에서 문제와는 다르다.
그런 의미에서 내담자들이 문제를 갖고 온다고 보기보다는 문제 상황, 다시 말해 스스로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복잡하고도 혼란스러운 생활 속의 문제 상황 때문에 온다고 보는 편이 나을 것이다.
내담자들은 이러한 문제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할 때가 많다.또는 문제 상황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어떻게 대처해야할지 모르거나, 이러한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는데 필요한 자원을 갖고 있지 못하다고 느낀다. 또 어떤 내담자는 아무런 효과도 없는 해결책을 갖고 애를 쓰기도 한다.
문제 상황은 우리 자신,타인,사회환경,조직,기관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한다.
자기회의에 시달리는 사람,불합리한 공포로 고통받고 있는 사람, 심각한 질병으로 스트레스 받고 있는 사람, 개인적인 행동이나 직장 내 정책 또는 경제 이기 등으로 해고된 사람,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느라 혼란을 겪고 있는 사람, 파국적인 상실로 휘청거리는 사람, 아동학대로 인해 투옥된 사람,중년의 위기에 놓인 사람, 가족이나 친구가 없어 사화에서 소외되어 있거나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 배우자로부터 학대받고 있는 사람, 인종파별로 희생당한 사람 등, 이 모든 내담자는 모두 문제 상황에 처한 것이다.
이들은 스스로 도움을 청하기도 하고 다른 사람에 의해 도움을 받도록 보내지기도 한다.
아무리 심각한 문제상황에 처해 있는 사람이라도 적절한 도움을 받는다면 보다 효율적으로 문제 상황에 대처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사례를 살펴보기로 하자.
58세의 M부인은 지난 여섯달 사이에 세번이나 참담한 상실을 경험했다. 아들 넷 중 다른 도시에 살고 있던 한 아들이 갑자기 뇌졸중으로 사망했다. 겨우 32세의 나이에 죽은 것이다. 그 직후 부인은 자신이 다니던 회사가 타 회사와 합병하는 바람에 구조조정으로 직장을 잃었다 그레고 얼마 후 ,2년 동안 암으로 고생하던 남편까지 잃었다, M부인은 살림이 궁핍한 정도는 아니었지만 경제적인 여유는 별로 없는 상황이었다. 남아 있는 세 아들 중 두 명은 결혼하여 한 명은 멀리 떨어진 교외에서 살고 있었고, 다른 한 명은 다른 도시에 살았다. 미혼인 셋째 아들은 그로벌 기업에서 판매업무를 맡고 있어 출장이 잦았다. 남편이 죽은 후, M부인은 쉽게 흥분하고 화를 잘 내고 우울해했다. 그리고 죄책감에 빠졌다. 첫째는 남편에거 '좀 더' 잘해주지 못했다는 것이었고, 둘째는 아들이 젊은 나이에 죽은 것에 대한 심한 죄책감이었다. 그리고 자신이 남아 있는 자녀들에게 짐이 되지 않을까 극도의 두려움을 느꼈다.
처음에 부인은 집 안에만 틀어박혀 지내면서 그 누구의 위로나 도움도 거부했다.
그러다가 마침내 교회 목사의 간곡한 권유를 받아 교회의 자조 집단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그 지역 대학교에 근무하는 한 심리학자가 집단을 지도해주고 있었다. 부인은 이 집단의 사람들과 사귀면서 차츰 아들들의 도움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오히려 그녀는 '슬픔을 경험하고 있는 가족' 중 한 명이며, 가족 구성원 모두가 그들이 경함하고 있는 상실감에 대처하기 위해 서로서로 도와줄 필요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던 것이다.
그녀는 몇몇 집단언과 집단 밖에서 만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교류를 통해 그녀는 실직 후의 사회적 공백을 매울 수 있게 되었다. 그녀는 이 집단에 도움을 주던 심리학자와도 가끔 개별적인 대화를 나누었다. 그녀는 집단에 참여한 사람들의 도움으로 직장을 다시 구하게 되었다.
이 사례를 통해 어려움에 처했을 때 여러 방면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 주목 할 필요가 있다. 가족과의 새로운 유대, 교회의 지지 집단,교회 성직자의 적극적인 관심, 심리학자와의 개별적 만남, 새로운 친구들과의 즐거운 만남 등이 M부인에게 큰 도움이 되었다. 더욱이 그녀는 능력이 있는 사람이었기 때문에 주위의 도움으로 자신의 능력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었다.
우리는 M부인이 받았던 어떠한 도움도 그녀가 경험한 상실 자체를 해결해주는 못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상담의 목표는 무제를 해결해주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가 스스로 보다 효율적으로 문제에 대처해 나가거나 삶의 새로운 가능성을 활용함으로써 문제를 뛰어넘도록 돕는 것이다.문제에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바로 학습의 기회라는 점이다. 내담자는 상담 시간에 배운 서로 주고받는 것을 우선 당면 문제에 대처하는 데 적용할 수 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의 토대를 이루는 가치 (0) | 2022.12.04 |
---|---|
상담 전문가 교육과정 (0) | 2022.12.03 |
상담이라는 직업이 직면한 도전 (0) | 2022.09.30 |
상담의 이해 (0) | 2022.09.29 |
책정리) 반려견증상상식사전 -김보윤5 (0) | 2022.09.08 |
- Total
- Today
- Yesterday
- 청년
- 사업자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 종합소득세
- 세금
- 나훈아콘서트예매
- 장려금
- 사업자세금
- 스포츠중계
- 종소세신고
- 예매
- 프리랜서세금
- 해외야구
- 벚꽃축제
- 나훈아
- 해외축구
- 무료스포츠중계
- 무료스포츠
- 프리랜서
- 나훈아콘서트
- 종합소득세신고
- 해외농구
- 무료중계
- 청년정책
- 종소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